도솔사
본문
한자1
[兜率寺]
한자2
ⓢ
ⓟ
ⓣ
뜻(설명)
1)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에 있던 사찰. 2)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에 있는 사찰로 선운사의 부속 암자이다. 도솔암이라고도 한다. 신라 제24대 진흥왕 당시 창건한 암자이다. 원래는 상·하, 동·서·남·북의 여섯 도솔암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들어와 상·하·북 세 도솔암만 남았다고 전해진다. 일반적으로 불리는 도솔암은 하도솔암이며, 하도솔암에서 365계단 위에 있는 도솔암 내원궁이 상도솔암으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상도솔암은 진흥왕 때 창건되었고, 1511년(중종 6) 지은(智誾)이 중창했으며, 1694년(숙종 20) 태헌(太憲)이 중수하였다. 1705년 보경(寶鏡)이 중종(中鍾)을 봉안했고, 1829년(순조 29) 경문(敬聞)이 중수하였다. 이곳에는 조선 초기의 5대 걸작 불상 중 하나로 꼽히는 선운사 지장보살좌상이 있는데,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하도솔암은 1658년(효종 9) 해인(海印)이 창건하고 1669년(현종 10) 중건한 뒤 오늘에 이른다. 3) 황해도 황주군 정방산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