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솔암
본문
한자1
[兜率庵]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영장리 고령산 보광사의 부속 암자이다. 894년(진성여왕 8) 도선(道詵)이 창건했으며,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된 것을 1622년(광해군 14) 설미(雪眉)와 덕인(德仁)이 중건하였다. 백용성(白龍城)이 1915년부터 3년 동안 천수관음기도를 해서 힘을 얻고 3·1운동 때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6·25전쟁으로 무너진 것을 1956년 혜봉(慧峰)이 승당을 중건했고, 1968년 도형(道馨)이 삼성각과 극락전을 신축해 오늘에 이른다. 2) 충청북도 보은군 내속리면 속리산 법주사의 부속 암자이다. 3)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만수산 무량사의 부속 암자이다. 4) 충청남도 서산시에 있던 사찰. 5) 충청남도 부여군 망월산에 있던 사찰로 절 북쪽에 굴이 있는데 신라 승려 의조(義照)가 있던 곳이라고 한다. 6)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도솔산 선운사의 부속 암자이다. ⇨ 도솔사. 7) 전라북도 고창군 소요산에 있던 사찰. 8) 전라남도 해남군 달마산에 있는 사찰. 신라의 고승 의상(義湘)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천년 기도 사찰로 유명하다. 9)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영취산 흥국사의 부속 암자이다. 10) 울산광역시 북구 화봉동 무룡산(舞龍山)에 있는 사찰. 원래는 조선 말기까지만 해도 월성 이씨 이종준 일가의 민가가 이 자리에 있었으며, 울산 병영(병영동)에 살던 김복선(金福善)·김수화(金守化) 자매가 이 민가를 인수하여 중생교화의 서원으로 사찰을 건립하고 수행하였다. 두 자매는 곧 출가하여 각각 아일다(阿逸多)·성련(性蓮)이라는 법명으로 포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병영에 있던 민가를 그대로 옮겨와 대웅전으로 조성했는데, 훗날 1980년대에 대웅전을 신축할 때 발견된 상량문에는 ‘정축년(丁丑年)’이라고 적혀 있어 사찰 창건이 1937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77년에 승려 정각(正覺)이 두 비구니 자매로부터 사찰을 인수하여 1985년부터 1991년까지 중수하여 현재의 모습에 이른다. 11)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삼정리 지리산 영원사의 부속 암자이다. 12) 경상남도 충무시 봉평리 미륵산 용화사의 부속 암자이다. 13) 경상북도 문경시 산복면 김룡리 운달산 김룡사의 부속 암자이다. 1889년 혜운(惠雲)이 중창하였다. 14)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원동 화악산 적천사의 부속 암자로서 고려 명종 때 보응(普應)이 중창하였다. 15) 강원도 고성군 서면 백천교리 금강산 유점사의 부속 암자로 조선 1623년(인종 1) 성희(性煕)가 창건하였다. 16)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창대리 금강산 신계사의 부속 암자이다. 17)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장연리 금강산 장안사의 부속 암자이다. 18)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장연리 금강산 표훈사의 부속 암자이다. 19) 함경남도 홍원군 묘봉산에 있던 사찰. 20) 함경북도 명천군 칠보산에 있던 사찰. 21) 황해도 신천군 구월산에 있던 사찰. 22) 황해도 신천군 성거산 금신사 위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