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도안

본문

한자1
[道安]
한자2
뜻(설명)
1) (1638~1715) 조선시대 승려로 호는 월저(月渚)이다. 평양 사람으로 속성은 유(劉)씨이고, 9세에 천신(天信)에게 승려가 되었다. 금강산에서 풍담의심(楓潭義諶)에게 지도를 받으며 휴정(休靜)의 밀전(密傳)을 연구했고 화엄학과 삼교(三敎)에 두루 통했다. 1664년(현종 5) 묘향산에 들어가 『화엄경』의 대의를 강구하였다. 그때부터 화엄종주(華嚴宗主)라 불리며 그 당시 처음 보는 법회라고 할 정도로 항상 청중들이 많았다. 『화엄경』과 『법화경』 등 대승경전과 『예념왕생문(禮念往生文)』 등의 염불 관계 서적을 간행하여 도속(道俗)에 배포하였다. 1697년(숙종 23) 정축옥사(丁丑獄事)에 무고로 구금되었으나 억울함이 밝혀져 곧 왕명으로 특사되었고, 팔도선교도총섭(八道禪敎都摠攝)의 승직을 내렸으나 사양하였다. 진불암(眞佛庵)에서 세수 78세에 입적하였다. 전법제자로 법명(法明)과 추붕(秋鵬)이 있으며, 저서로는 시문집 『월저당대사집(月渚堂大師集)』 2권 2책과 『불조종파도(佛祖宗派圖)』가 있다. 2) (312~385) 중국 동진시대의 승려. 초기 중국불교의 기초를 닦은 학승이며 반야학의 대표적 인물이다. 중국의 상산(常山) 부류(扶柳) 사람으로 성은 위(魏)씨이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12세에 출가하였다. 총명하였으나 용모가 너무 못생겨 스승에게서 귀염도 받지 못한 채 3년을 논밭에서 일하다가 어느 날 밭일하던 여가에 『변의경(辯意經)』과 『성구광명경(成具光明經)』을 배운 뒤 곧 외워서 스승을 놀라게 하였다. 서역에서 온 불도징(佛圖澄)의 제자가 되었고, 법제(法濟)·지담(支曇) 등에게 배웠다. 대법(大法)을 널리 펼치기 위해 문인들을 양주·촉·나부산 등지에 보내고, 또 혜원(慧遠) 등 4백 인을 거느리고 양양(襄陽)에서 전도하였다. 여러 경전 가운데 잘못된 곳을 개탄해 『반야경(般若經)』·『도행경(道行經)』·『밀적경(密跡經)』·『안반경(安般經)』 등의 문구를 비교하며 시작되고 끝나는 뜻을 밝혔다. 그때의 모든 경전이 역자와 번역 연대가 미상한 것을 상고하여 경연(經緣)을 작성하였다. 사방의 학자가 다투어 그 문으로 모여들었고, 그가 있는 백마사(白馬寺)로는 수용할 수 없게 되자 단계사(檀溪寺)를 새로 지었다. 진왕(秦王) 부견(符堅)은 그의 학덕을 사모하여 군대로 양양을 포위하고 장안(長安)으로 초청하여 오중사(五重寺)에서 경전을 번역하고 강론하게 하였는데, 그의 학설은 반야(般若)의 공론(空論)이었다. 중국 초기의 불교는 주로 인도와 서역에서 온 승려에 의하여 개척되었으나, 도안 때부터 중국인에 의하여 중국불교가 일어났다. 경전을 해석하는 데 서분(序分)·정종분(正宗分)·유통분(流通分)의 3분 과목을 창설했고, 석(釋)을 승려의 성으로 삼아야 옳다는 것 등을 제창하고 스스로 석도안이라고 하였다. 진(秦)의 건원 21년, 세수 72세로 입적하였다. 세상에서는 그를 인수보살(印手菩薩)이라 불렀다. 저서로는 『반야절의략(般若折疑略)』, 『대십이문주(大十二門註)』, 『음지입주(陰持入註)』, 『종리중경록(綜理衆經錄)』, 『서역지(西域志)』 등 20여 부가 있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