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도원

본문

한자1
[道元]
한자2
뜻(설명)
1) 고려시대 승려로 문종 때 우가승록(右街僧錄)이 되었다. 1067년(문종 21) 흥왕사(興王寺)를 창건하고, 왕명을 받아 1천 명의 승려를 선발하여 머물게 하였다. 2) (1200~1253) 일본 조동종(曹洞宗)의 개조로서 교토(京都) 사람으로 호는 기겐(希玄)이다. 13세에 집에서 도망하여 히에이잔(比叡山)의 로겐(良觀)을 찾고, 이듬해 코엔(公円) 승정(僧正)에게 머리를 깎고 보살계를 받았다. 그 후부터 천태종의 교관(敎觀)과 여러 경론을 배우다가 ‘본래성불’이라는 말에 의심을 내고, 1214년 에이사이(榮西)에게서 임제(臨濟)의 종풍을 들었다. 1223년 송나라에 건너가 명주(明州) 천동산(天童山) 경덕사(景德寺)의 무제요파(無際了派)를 찾았다. 그 뒤로 절옹여염(浙翁如琰)과 반산사탁(盤山思卓) 등 여러 고승을 찾았다. 1225년 경덕사의 장옹여정(長翁如淨)을 찾고, 사자(師資)가 서로 계합하여 조동(曹洞)의 당오(堂奧)에 들게 되자, 일생 참학하는 일을 마쳤다. 1227년 귀국. 1233년 성남(城南) 우지(宇治)에 고쇼지(興聖寺)를 짓고 선당(禪堂)을 열어 설법을 시작했으며, 그 후 각 지방을 다니면서 종풍을 떨쳤다. 교토(京都)에서 입적하였다. 세수 54세였고, 시호는 승양대사이다. 저서로 『정법안장(正法眼藏)』 95권, 『영평광록(永平廣錄)』 10권, 『영평청규(永平清規)』 2권, 『학도용심집(學道用心集)』 1권, 『보경기(寶慶記)』 1권, 『보권좌선의(普勸坐禪儀)』 1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