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점
본문
한자1
[頓漸]
한자2
ⓢ
ⓟ
ⓣ
뜻(설명)
점돈(漸頓)이라고도 한다. 돈속(頓速)과 점차(漸次)의 뜻으로 그 쓰임에 따라 의미가 다르다. 이것은 부처님 설법의 형식과 사상의 내용, 수행의 과정에 따라 3종으로 나뉜다. (1) 부처님 설법의 형식에 따르면, 단박에 설법한 『화엄경』을 돈(頓)이라고 하고, 근기에 맞추어 점차로 설법한 『아함경』, 『방등경』, 『반야경』 등의 여러 경전을 점(漸)이라고 한다. (2) 사상의 내용에 따르면, 일정한 차례를 거치지 않고 바로 해탈을 얻는 방법을 설한 것을 돈교라고 하고, 원칙적으로 차례를 밟아서 점차로 해탈케 하는 가르침을 점교라고 한다. (3) 수행의 과정에 따르면, 돈교에 의해 속히 증오(證悟)를 얻는 것을 돈이라고 하고, 점교에 의해 수행을 해서 점차로 얕은 데서 깊은 데로 나아가는 것은 점이라고 한다. 전자에서는 수행하는 점차와 증득하는데 경과하는 시간을 말하지 않으나, 후자에서는 그 과정을 7현(賢), 7성(聖), 52위(位), 3아승지겁, 백대겁 등으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