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돈점이교

본문

한자1
[頓漸二敎]
한자2
뜻(설명)
점돈이교(漸頓二敎)라고도 한다. 부처님 일대의 설교를 돈교와 점교로 나눈 것. 이 2교는 역대 고승들마다 그 뜻을 달리한다. (1) 정영(淨影)은 가르침을 받는 근기에 따라 판단한다. 바로 대승에 들어가는 돈오(頓悟)의 근기에 대해서 말한 법인 『화엄경』, 『유마경』, 『승만경』 등을 돈교라고 하고, 소승에서 마음을 고쳐 대승에 들어가는 점입(漸入)의 근기를 위하여 말한 법인 『법화경』, 『열반경』 등을 점교라고 한다. (2) 천태(天台)는 부처님 설법의 형식에 따라 판단한다. 부처님이 성도한 직후 보살을 위해 바로 설한 고상한 대승의 법인 『화엄경』을 돈교라고 하고, 소승의 근기를 점차로 대승으로 이끌기 위해 설한 법인 『아함경』, 『방등경』, 『반야경』을 점교라고 한다. (3) 현수(賢首)는 설한 법문에 따라 판단한다. 언어 문자를 초월하여 말과 생각이 끊어진 법문. 이를테면, 『유마경』의 설묵불이(說黙不二)와 같은 것을 돈교라고 하고, 언어로써 지위 점차를 말하여 점점 수학(修學)을 가르친 법문을 점교라고 한다. (4) 선도(善導)는 이익의 느리고 빠름에 따라 판단한다. 단박에 증오(證悟)를 얻는 법인 『관무량수 경』, 『아미타경』 등에서 말한 정토염불의 법문을 돈교라고 하고, 점차로 수학하여 오랜 뒤에 증과를 얻는 법인 『영락경(瓔珞經)』 등을 점교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