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뢰야삼상

본문

한자1
[賴耶三相]
한자2
뜻(설명)
제8 아뢰야식이 가진 3종의 상(相)으로, 곧 자상(自相)·과상(果相)·인상(因相)을 말한다. 제8식 자체에 모든 법의 인(因)이 되고 과(果)가 되는 뜻을 갖추었으므로, 이 체(體)와 의(義)의 차별을 나타내기 위하여 3상(相)의 이름을 세운 것이다. 이 3상은 설명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므로 자상(自相) 밖에 인상(因相)·과상(果相)이 없고, 이 2상을 떠나서 따로 자상이 있는 것도 아니다. 자상의 상(相)은 체상(體相)이고 나머지 2상은 의상(義相)이다. 자상(自相)은 제8식 자체의 상으로, 곧 모든 종자를 간직하고 7전식(轉識)에 의하여 모든 종자를 훈장(熏藏)하여 제7식에 의하여 집장(執藏)되는 것을 말한다. 과상(果相)은 제8식이 선악의 업으로 생겨난 이숙(異熟)의 과체(果體)이다. 이 식은 이숙의 인업(引業)으로 받는 3계(界)·5취(趣)·4생(生)의 과체이므로 인업소감(引業所感)의 이숙이라고 하는 점으로써 이 식의 과상을 삼는다. 이는 중생 총보(總報)의 과체(果體)이다. 이 총보의 과체로는 업과(業果)와 부단(不斷)과 변삼계(遍三界)의 세 가지 뜻을 갖는다. 업과(業果)는 선악의 업인(業因)으로 생긴 이숙(異熟) 무기(無記)의 과(果)를 말하고, 부단(不斷)은 인위(因位)나 과상(果上)에 본래부터 상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을 말하며, 변삼계(遍三界)는 욕계·색계·무색계 중에서 어디나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세 가지 뜻을 가진 것은 제8식뿐이므로 총보의 과체라 하는 것이다. 인상(因相)은 제8식이 모든 법의 인(因)이 되는 상(相)으로, 곧 모든 색(色)·심(心) 제법의 종자를 가져 잃지 않고, 만법이 현행하는 과(果)를 낳는 원인이 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