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마곡사

본문

한자1
[麻谷寺]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이천시 오음산에 있던 사찰. 2)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에 있는 사찰. 창건과 사찰명에 관한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신라 640년(선덕여왕 9) 자장율사가 통도사(通度寺), 월정사(月精寺)와 함께 이 절을 창건했는데 낙성식을 할 때 법문을 들으러 찾아온 신도들이 삼대[麻]처럼 무성했다고 하여 마곡사라고 정했다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신라 승려 무염(無染)이 스승인 마곡보철(麻谷寶徹)을 사모하는 뜻에서 절을 짓고 마곡사라고 했다는 설과 이곳에 마(麻)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살았기 때문에 마곡사라고 했다는 설이다. 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에 걸쳐 2백여 년 동안 폐사된 상태였으나 고려 1172년(명종 2) 보조국사 지눌(知訥)이 제자 수우(守愚)와 중건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병화로 60년 동안 다시 폐사되었으나 1651년(효종 2) 각순(覺淳)이 중수하였다. 또한, 이 사찰은 김구와도 인연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보물로 지정된 오층석탑, 보물 영산전, 보물 대웅보전, 보물 대광보전, 보물 석가모니불괘불탱이 있으며, 이외에도 많은 충청남도 시·도 유형문화재와 문화재자료를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