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하지관
본문
한자1
[摩訶止觀]
한자2
ⓢ
ⓟ
ⓣ
뜻(설명)
20권. 천태종 지의(智顗) 지음. 수(隋)나라 594년(개황 14) 형주(刑州) 옥천사(玉泉寺)에서 강설한 것을 제자 관정(灌頂)이 기록한 것이다. 천태 삼대부(三大部)의 하나로 『법화현의(法華玄義)』· 『법화문구(法華文句)』의 2부는 모두 천태종의 교상(敎相)을 밝힌 것이나, 이 책은 실천의 관심문(觀心門)을 밝혔다. 처음에는 지관법문(止觀法門)의 상승(相承)을 밝히고, 다음에는 본론으로 들어가서 5약(略)·10광(廣)의 2단으로 나누었다. 10광이란 대의(大意), 석명(釋名), 체상(體相), 섭법(攝法), 편원(偏圓), 방편(方便), 정관(正觀), 과보(果報), 기교(起敎), 지귀(旨歸)의 10장을 말하고, 5약(略)은 대의장을 발대심(發大心), 수대행(修大行), 감대과(感大果), 열대망(裂大網), 귀대처(歸大處)의 다섯 부분으로 나누어 전체 내용을 총괄적으로 설명한 것을 말한다. 10광의 제2 석명장에서는 지관(止觀)의 이름을 풀이하고, 제3 체상장에서는 지관의 체상(體相)을 밝혔으며, 제4 섭법장에서는 지(止)와 관(觀)의 두 법은 모든 법을 섭수하고 있음을 설명한다. 제5 편원장에서는 편교(偏敎)와 원교(圓敎)를 구별하고, 제6 방편장에서는 관심하기 전 준비해야 할 25방편을 말했으며, 제7 정관장에서는 십경십승관법(十境十乘觀法)에 관해 자세히 설명했다. 십경(十境) 중 관경(觀境) 이후부터 10장의 끝까지는 하안거 기간이 끝남으로써 더 이상 지의가 강설하지 않아서 장의 이름만 있을 뿐 내용이 없다. 주석서로는 『지관보행(止觀輔行)』 40권, 『수요기(搜要記)』 10권, 『지관의례(止觀義例)』 2권, 『지관대의(止觀大意)』 1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