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월사
본문
한자1
[望月寺]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도봉산에 있는 사찰. 신라 639년(선덕여왕 8) 해호화상(海浩和尙)이 창건하였다. 선덕여왕은 해호를 측근에 머물게 하였으나 해호는 이를 사양하고 홀로 이 암자에 머물며 나라를 위해 기도했다고 한다. 고려 1066년(문종 20) 혜거국사(慧炬國師)가 재창했으나 그 뒤 여러 차례의 흥폐가 있었고, 조선 1691년(숙종 17) 동계설명(東溪卨明)과 1880년(고종 17) 완송(玩松)이 중건하였다. 이 사찰에 관한 기록에는 「망월사천봉선사탑비문(望月寺天峯禪師塔碑文)」과 「신수망월사기선실설법루기(新修望月寺記禪室說法樓記)」가 있다. 2)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에 있는 사찰.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읍을 정하면서 세검정에 있던 장의사(壯義寺)를 폐사하고 그곳에 있던 불상과 금자(金字) 『화엄경』, 금정(金鼎, 금솥) 등을 현재 남한산성 내에 있는 이곳으로 옮겨 화엄종 사찰로 창건하였다. 망월사는 임진왜란 이후 승병대장의 지휘소 역할을 하며 군사적·역사적으로 중요한 사찰이었으나, 이로 인해 1907년 일본에 의해 강제 폐사되었다. 현재 사찰은 1990년에 복원한 것이다. 3) 경기도 김포에 있던 사찰. 4) 충청남도 부여군 망월산에 있던 사찰. 5) 전라북도 순창시 서룡산에 있던 사찰. 6) 전라북도 정읍시 도순산에 있던 사찰. 7) 경상북도 경산시 동학산에 있던 사찰. 8)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금오산(金鰲山)에 있는 사찰. 현재 대한불교 원효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 원효종은 1963년 경주에서 승려 해인(海印)이 신라의 승려 원효를 종조로 하여 그 전신인 대한불교 원효종 포교원이라는 이름으로 창종하고 초대 종정이 되었다. 4년 후 1967년에 망월사가 총본원이 되었으며, 이후 1977년에 현재의 대한불교 원효종이 되었다. 9) 평안북도 자성군 자모산성 안에 있던 사찰. 10) 평안남도 평원군 동송면 운평리에 있던 사찰. 11) 황해도 평산군 목단산에 있던 사찰. 12) 황해도 평산군 산성 안에 있던 사찰. 곧 태백사(太白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