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망해암

본문

한자1
[望海庵]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봉산에 있는 사찰. 신라시대인 655년(문무왕 5)에 원효대사가 처음으로 미륵불을 봉안하고 ‘망해암’이라고 이름 붙였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기록을 찾을 수 없다. 조선 1407년(태종 7) 한양의 백호(白虎)에 해당하는 관악산의 기맥을 누르기 위해 왕명으로 몇몇 사찰을 중창했는데, 이때 망해암도 함께 중수했다고 한다. 1803년(순조 3) 홍대비(洪大妃)의 시주로 중창했으며, 1863년(철종 14) 대연화상이 다시 중수하였다. 용화전에는 석불 입상이 모셔져 있는데, 보개 하단에 음각된 명문의 내용으로 1479년(성종 10)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경기도 김포시 검단면 금곡리 가현산에 있는 사찰. 3) 전라북도 정읍 칠보산에 있던 사찰. 4) 강원도 고성군 오대면 냉천리 금강산에 있던 사찰. 건봉사에 속해있던 암자로 1828년(순조 28) 창건했다고 한다. 5) 평안남도 중화군에 있던 사찰. 6) 황해도 은율군에 있는 제중암(濟衆庵)의 다른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