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명언종자

본문

한자1
[名言種子]
한자2
뜻(설명)
↔ 업종자(業種子). 명언습기(名言習氣)·명언훈습(名言熏習)·등류습기(等流習氣)라고도 한다. 온갖 법을 낳는 직접 인연이 되는 종자로 명언(名言)에 따라 훈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명언종자라고 한다. 명언에는 표의명언(表義名言)과 현경명언(顯境名言)의 2종이 있다. 표의명언은 언어적 표상[名·句·文]이 생기게 하고 의미를 나타내어 개념적 사고를 하게 하는 명언으로 제6식은 이 명언에 의해 모든 법이 변한 종자를 아뢰야식에 훈부(熏付)한다. 현경명언은 대상의 형상적 표상이 생기게 하고 인식 대상을 나타내어 대상을 파악하게 하는 명언으로 제7식의 심왕(心王)·심소(心所)가 대상 경계를 인식 분별하는 것이다. 이때 제7식의 견분이 직접 대상 경계를 반연하고 있는 모든 법의 종자를 아뢰야식에 훈성(熏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