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조
본문
한자1
[明照]
한자2
ⓢ
ⓟ
ⓣ
뜻(설명)
(1593~1661) 조선시대의 승려. 호는 허백(虛白). 충청도 홍주 출신으로, 속성은 이(李)씨이고 이름은 희국(希國)이다. 13세에 출가해 사명유정(四溟惟政)의 제자가 되었다. 왕명을 받은 사명이 일본으로 떠나자 현빈인영(玄賓印映)에게 가서 선(禪)과 교(敎) 양종을 배웠고, 그 후 원준(圓俊)으로부터 화엄교법을 듣고 송월(松月)에게 선법을 배웠다. 1626년(인조 4) 후금(後金)이 국경을 위협했을 때는 팔도의승대장(八道義僧大將)에 임명되어 4천의 승병을 모아서 안주(安州)를 수비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에도 의병장(義兵將)이 되어 활약하였다. 그 뒤 금강산, 지리산, 구월산 등지를 다니며 참선하거나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말년에는 묘향산 불영대(佛影臺)에 토굴을 짓고 있다가 세수 69세, 법랍 57세로 입적하였다. 저서로 『허백당집(虛白堂集)』 3권과 『승가예의문(僧伽禮儀文)』 1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