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명효

본문

한자1
[明皛]
한자2
뜻(설명)
‘명효(明曉)’라고도 한다. 당(唐)나라에서 유학하고 700년(효소왕 9)에 신라로 귀국하였다. 귀국에 앞서 이무첨(李無諂)에게 밀교 경전인 『불공견삭다라니경(不空羂索陀羅尼經)』의 번역을 요청했는데, 이 경전의 번역이 이 해 8월에 끝나자 그것을 가지고 돌아왔다. 명효는 『화엄경』을 해석한 『해인삼매론(海印三昧論)』을 저술하였다. 이는 서문·서시(序詩)·논(論)·해인삼매도(海印三昧圖)·게송·회향게(廻向偈) 등으로 구성된 짧은 저술이다. 이 중 해인삼매도는 7언 28구 196자로 된 게송을 도인(圖印)에 합쳐서 만든 반시(槃詩) 형태로 되어 있으며, 흔히 의상(義湘)의 법계도(法界圖)와 비교된다. 법계도가 가로 15행, 세로 14행의 직사각형인 데 비하여, 해인삼매도는 가로·세로 각각 14행의 정사각형이다. 그리고 법계도가 인도(印道)의 방향이 중앙으로부터 왼쪽을 향해서 돌아가게 되어 있음에 비하여 해인삼매도는 그 반대로 되어 있다. 명효는 『해인삼매론』에서 교훈적인 글을 발췌해 수행자의 여설(如說) 수행을 강조했는데, 여기엔 화엄 사상을 밀교적 시각에서 해석한 특징이 나타난다. 이로 미루어 명효의 불교사적 위치는 화엄과 밀교의 겸학에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