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목어

본문

한자1
[木魚]
한자2
뜻(설명)
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깎아 만들고 속을 파내어 그 속을 두드리는 불교 의례에 쓰는 법구(法具). 범종(梵鍾)·범고(法鼓)·운판(雲板)과 함께 불전사물(佛殿四物)에 속하며, 어고(魚鼓)·어판(魚板)이라고도 한다. 원래 중국의 선원에서 아침에 죽 먹을 때와 낮에 밥 먹을 때를 알려서 대중을 모이게 하는 신호 기구로 쓰였다. 물고기처럼 생긴 길고 곧은 모양(지금은 이것을 방梆이라고 한다)이 둥글게 변모했으며, 이것을 우리나라에서는 목탁(木鐸)이라고 해서 불전에서 염불·독경·예배할 때도 사용하고 공양할 때나 대중을 모을 때도 쓴다. 물고기 모양으로 만든 데는 예전부터 몇 가지 설이 있다. 옛날 어떤 스님이 스승의 가르침을 어기고 함부로 행동하다가 죽은 뒤 등에 나무가 자라나는 물고기의 과보를 받았다고 한다. 어느 날 스승이 배를 타고 바다를 지나는데 물고기 한 마리가 나타나서 죄를 참회하며 등에 난 나무를 없애달라고 애걸하였다. 스승은 수륙재(水陸齋)를 베풀어 고기 몸을 벗게 한 후, 그 나무로 물고기 모양을 만들어서 매달아 놓고 스님들을 경책했다는 것이다. 또 일설에는 물고기는 밤낮으로 눈을 감지 않으므로 수행자로 하여금 자지 않고 도를 닦으라는 뜻으로 그 모양을 취했다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둥근 것은 ‘목탁’, 긴 것은 ‘목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