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묘색왕인연경

본문

한자1
[妙色王因緣經]
한자2
뜻(설명)
1권. K496, T163.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당(唐)나라 때인 701년에 의정(義淨)이 동도(東都)의 대복선사(大福先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묘색왕경』·『묘색왕인경(妙色王因經)』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전생담을 통해 법을 구하는 자세와 끊임없는 정진을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께서 전생에 묘색이라는 왕으로 계실 때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위해 묘법(妙法)을 듣고자 하였으나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시기 전이어서 법을 설하는 이가 없었다. 이것을 본 제석(帝釋)이 왕을 시험하고자 무서운 야차(藥叉)로 변하여 왕 앞에 나타나 법을 설해주겠다고 하였다. 왕은 매우 기뻐하며 어서 법을 설해주기를 청하였으나, 야차는 허기가 져서 법을 설할 수 없으니 사람의 피와 고기를 달라고 요구하였다. 왕이 당황하자 옆에 있던 태자 단정(端正)이 아버지를 위해 야차의 먹이가 되었다. 그러나 야차는 아직 허기가 채워지지 않았다며 왕의 부인을 지목하였다. 이 말을 들은 묘용(妙容)왕비는 아들처럼 자신도 야차의 먹이가 되어주었다. 그런데도 야차가 여전히 고기를 더 원하자, 왕은 자신의 몸을 바치겠으니 죽기 전에 묘법을 들려달라고 청했다. 그러자 야차는 게송으로 “사랑으로 인하여 근심이 나고 사랑 때문에 두려움이 생기니, 사랑을 떠나면 근심도 없고 두려움도 없다.”라고 설하였다. 묘법을 들은 왕은 약속대로 몸을 바치려 하였는데, 왕이 법을 위해 몸과 마음이 동요하지 않는 것을 본 야차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제석은 묘법을 구하는 왕의 자세를 찬탄하며 왕비와 그의 아들을 돌려주었다. 부처님께서는 자신의 전생이야기를 끝맺으시면서 법을 구하는 이는 방일하지 말고 열심히 수행 정진해야 한다고 설하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