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무경집

본문

한자1
[無竟集]
한자2
뜻(설명)
2권 2책. 조선시대 무경자수(無竟子秀, 1664~1737)의 시문집. 목판본. 『한국불교전서』 제9책의 주기에 따르면, 『무경집』 제2권의 분량이 제1권의 배에 달하므로 제2권을 다시 권2·권3으로 나누어 3권의 체제로 재편하였다. 3권의 체제에 따르면, 1권에는 5언고시 5편, 7언고시 4편, 잡저(雜著) 11편, 5언절구 27편, 5언절구 변체(變體) 4편, 7언절구 54편, 7언절구 변체 14편, 5언율시 근체 30편, 5언율시 변체 12편, 7언율시 56편, 7언율시 변체 2편이 실려 있고, 2권에는 문 37편, 권3에는 문 51편이 실려 있다. 권두에 오광운(吳光運)·관물거사(觀物居士)·윤현동(尹顯東)의 서(序)가 있고, 권말에 제자 회경(懷瓊)이 쓴 「무경당대사행장(無竟堂大師行狀)」과 허채(許采)가 쓴 발문이 있다. 시에는 변체를 써서 시격(詩格)을 달리한 시, 그리고 잡저라 하여 여러 격식을 선보인 시 등 다양한 형식의 시를 접할 수 있다. 전북 임실 사자산 신흥사(新興寺)에서 조선 1738년(영조 14) 개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