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무량수경종요

본문

한자1
[無量壽經宗要]
한자2
뜻(설명)
신라시대 원효(元曉, 617~696)가 『불설무량수경』의 핵심을 정리한 책. 『양권무량수경종요(兩卷無量壽經宗要)』, 『대무량수경소(大無量壽經疏)』, 『양권무량수경종지(兩卷無量壽經宗旨)』라고도 한다. 동진(東晋)의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와 유송(劉宋)의 보운(寶雲)이 공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불설무량수경(佛說無量壽經)』의 요의를 간추린 것이다. 구성은 대의(大意)·종치(宗致)·의혹중생(疑惑衆生)·취문해석(就文解釋)의 4문으로 되어 있지만, 네 번째 문은 전하지 않는다. 첫째 문에서는 이 경전이 보살장의 가르침 가운데 본보기이며 불국토의 인과를 밝힌 진실한 가르침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둘째 문에서는 경의 근본 취지를 정토의 과덕(果德)과 인행(因行)으로 설명하였고, 셋째 문에서는 사람에 의거하여 왕생인(往生因)을 분별한다. 이 책에서 원효는 특히 십념염불(十念念佛)을 통해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갈 것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