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명
본문
한자1
[無明]
한자2
ⓢ
avidyā
ⓟ
ⓣ
뜻(설명)
1) 불교의 진리를 알지 못하는 당체, 또는 진여(眞如)와 모순되는 비진여를 말한다. 2) 심소(心所)의 이름으로 치번뇌(癡煩惱)를 말한다. 구사종(俱舍宗)에서는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의 하나이고, 유식종(唯識宗)에서는 근본번뇌의 하나이다. 모든 사(事: 현상)와 이(理: 본체)에 어두워서 명료치 못한 것을 말한다. 3) 십이인연의 하나로 구사종에서는 지난 세상의 번뇌를 말하고, 유식종에서는 제6식과 서로 응하는 우치(愚癡)와 무치(無癡)의 치번뇌를 말한다. 4) 『기신론』 에서는 불각(不覺)과 같다고 한다. 진여(眞如)에 대하여 무자각한 것으로 진여가 한결같이 평등함을 알지 못하고 현상의 차별적인 여러 모양에 집착해서 현실세계의 온갖 번뇌와 망상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이 무명이 진여에 훈부(熏付)하여 아뢰야식을 내고, 아뢰야식에 의하여 모든 만법이 생긴다. 5) 천태종에서는 공(空)·가(假)·중(中)의 3관(三觀)에 의해 견사(見思)·진사(塵沙)·무명(無明)의 3혹(三惑)을 끊는다고 한다. 이때 무명은 모든 생사의 근본인 미세한 번뇌로 일법계의 뜻을 알지 못하고 법성의 장애가 되는 혹(惑)을 뜻한다. 무명의 혹은 보살만이 끊는 것이므로 별혹(別惑)이라고 하고, 또는 계외(界外)의 생사를 받는 번뇌이므로 계외혹(界外惑)이라고도 한다. 화법사교(化法四敎) 가운데 별교(別敎)와 원교(圓敎)의 보살만이 끊을 수 있다. 무명을 42품으로 나누는데, 별교에서는 무명이 끊어지는 자리[斷無明位]가 초지(初地) 이상이므로 초지 이후 묘각까지의 12계위(階位)에서 12품의 무명이 끊어진다고 하며, 원교에서는 무명이 끊어지는 자리가 초주(初住) 이상이므로 십주(十住) 이후 묘각까지 42품의 무명이 모두 끊어진다고 한다. 다만 이것은 일반적인 설일 뿐 실제로 원교에서는 삼관에 순서와 차례를 세우지 않으며 삼혹은 동체(同體)이므로 일심(一心)을 가지고 관함으로써 동시에 끊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