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
본문
한자1
[無相]
한자2
ⓢ
ⓟ
ⓣ
뜻(설명)
(680~756) 신라시대 승려. 호는 송계(松溪). 속성이 김(金)씨이며, 신라 국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우리나라 최초로 중국의 선을 배워 중국인들을 교화한 고승이라고 전해진다. 성덕왕 때 군남사(郡南寺)에서 승려가 되었고, 728년(성덕왕 27) 당나라로 건너가서 처음에는 선정사(禪定寺)에서 지냈다. 그러나 번잡한 곳을 피해 옛날 촉(蜀)나라 땅인 자중(資中)으로 가서 지선(智詵)에게서 선(禪)을 배웠다. 그 후 처적(處寂)에게 가서 무상(無相)이란 이름을 얻고 좌선하며 두타행을 하였다. 정중사(淨衆寺)·대자사(大慈寺)·보리사(菩提寺)·영국사(寧國寺) 등을 짓고, 외읍(外邑)의 절과 종·탑 등을 많이 세웠다. 정중사에서 세수 77세로 입적하였다. 후세인들은 무상의 사리탑을 동해대사(東海大師)의 탑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