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무염

본문

한자1
[無染]
한자2
뜻(설명)
(801~888) 신라시대 승려. 호는 무량(無量) 또는 무주(無住). 속성은 김(金)씨이고 태종무열왕의 8대손이다. 선문구산(禪門九山) 중 하나인 성주산문(聖住山門)의 개산조이다. 9세에 글을 배울 때 눈으로 보면 곧 외우므로 해동신동(海東神童)이라고 불렸다. 13세에 설악산 오색석사(五色石寺; 지금의 양양 오색동)의 법성(法性)에게 가서 승려가 되었다. 스승을 수년 동안 섬기다가 부석사 석징(釋澄)에게 『화엄경』을 배웠고, 821년(헌덕 13) 당나라로 건너가 종남산 지상사(至相寺)에서 『화엄경』을 공부했다. 당시 당나라에서는 선종이 일어나던 시기였으므로 불광사(佛光寺) 여만(如滿)에게 선법을 묻고, 마곡보철(麻谷寶徹)에게 법인(法印)을 받았다. 오랫동안 중국의 고적과 고승을 방문하며 보살행을 실천했으므로 동방대보살(東方大菩薩)이라는 칭송이 자자했다. 845년(문성왕 7) 귀국한 후 김양(金陽)의 청으로 웅천(熊川) 오합사(烏合寺)의 주지가 되었는데, 학도가 운집하고 선도(禪道)를 크게 떨쳤다. 이에 문성왕은 오합사를 성주사(聖住寺)라고 개명해서 대흥륜사(大興輪寺)에 편록시켰으며, 무염은 성주산문(聖住山門)의 개조가 되었다. 888년 세수 89세, 법랍 65세로 입적하였다. 시호는 대낭혜(大朗慧)이며, 성주산 성주사에 탑을 세우고 백월보광(白月葆光)이라고 하였다. 왕명을 받은 최치원이 글을 짓고 최인곤(崔仁滾)이 쓴 탑비가 보령군 미산면 성주리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保寧聖住寺址大郎慧和尙塔碑)는 국보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