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당유고
본문
한자1
[無用堂遺稿]
한자2
ⓢ
ⓟ
ⓣ
뜻(설명)
2권 1책. 조선시대 무용수연(無用秀演, 1651~ 1719)의 시문집. 목판본. 구성은 찬국옹(餐菊翁)의 서문·상권·하권·행장으로 되어 있다. 상권에는 장단시(長短詩) 외 4편, 5언절구 4편, 7언절구 21편, 5언율시 13편, 7언율시 36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고, 하권에는 서간문·서문·모연문·상량문·기문·소문·제문 등 44편의 문이 수록되어 있다. 상권에는 승속의 여러 사람들과 주고받은 시가 다수 있는데, 일반 문사로는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이 주목되고, 승려 가운데는 백암성총에게 올리는 시 등이 있다. 하권에는 저자가 교유한 여러 선비들에게 주는 편지글, 중창 불사를 위해 지은 발원문, 판각하여 펴낸 여러 불서의 서문, 재의식에 쓰인 여러 편의 소문이 주목된다. 이 책에서는 18세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백암과 침굉 그리고 무용이 교류했던 모습을 볼 수 있다. 1724년(경종 4)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에서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