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묵암대사시초

본문

한자1
[黙庵大師詩抄]
한자2
뜻(설명)
3권 1책. 조선시대 묵암최눌(默庵㝡訥, 1717~1790)의 시문집. 목판본. 권초·권중·권후의 3권으로 구성된 이 책은 각권의 제명을 묵암대사시초(默庵大師詩抄)·묵암집서신(黙庵集書信)·묵암집소문(黙庵集䟽文)으로 다르게 붙였다. 시초(詩抄)에는 5언절구 40수, 7언절구 84수, 5언사운 18수, 7언사운 9수 등의 시를 수록하였고, 서신(書信)에는 16편의 편지를 수록하였으며, 소문(疏文)에는 소(疏)·권문(勸文)·상량문(上樑文)·서(序) 등의 문장 15편을 수록하였다. 서신 중 「상완부정후백(上完府鄭侯伯)」·「상김정랑(上金正郞)」 등은 불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유학자들에게 불교의 이치를 설명하고 재가자로서 불도를 수행하는 일의 의미를 진지하게 설득하는 글이다. 소문 중 「폐지상소(癈紙上疏)」는 당시 승려에게 부과되었던 종이 만드는 부역의 부당한 점을 14개 조목으로 나누어 상언하는 내용이다. 전라남도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에서 1801년(순조 1) 제자 교평(敎萍)이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