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보살소문경론
본문
한자1
[彌勒菩薩所問經論]
한자2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
ⓣ
뜻(설명)
9권. K551, T1525. 후위(後魏)시대인 508년에서 535년 사이에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낙양(洛陽)의 영녕사(永寧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미륵문경론』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석미륵소문경(釋彌勒所問經)』이라고도 한다. 『미륵보살소문경』의 주석서이다. 경에서는 보살이 심심(深心)·행심(行心)·사심(捨心)·선지회향방편심(善知廻向方便心)·대자심(大慈心)·대비심(大悲心)·선지방편(善知方便)·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등의 여덟 가지의 법을 성취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할 수 있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