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암
본문
한자1
[彌勒庵]
한자2
ⓢ
ⓟ
ⓣ
뜻(설명)
1) 경기도 의정부시 고산동 부용산에 있는 사찰.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세조 이전 혜암(慧庵)이 창건한 것으로 보인다. 1892년(고종 29) 운송(雲松)이 중수해서 오늘에 이른다. 2) 전라북도 남원시 노암동에 있는 사찰. 현재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이다. 문화재로는 고려시대 석불인 미륵암 석불(전라북도 문화재자료) 등이 있다. 1947년 승려 덕봉과 신자 채귀임의 협력으로 창건하였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이 절터에서 발견되어 본래 고려시대 이 자리에 사찰이 존재했었음을 알 수 있다. 미륵암에 있는 2m가 넘는 거대한 석불은 그 영험으로 유명하다. 3) 전라북도 완주군 우림면 석불리 고덕산에 있는 사찰. 4) 전라북도 장수군 산서면에 있는 사찰. 현재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이다. 문화재로는 장수 미륵암석불좌상(長水彌勒庵石佛坐像,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등이 있다. 1910년에 창건되어 1980년에 중창되었다고 한다. 석불이 위치한 자리에는 본래 조선 말기에 숙운암(宿雲庵)이라는 암자가 존재했다고 전해진다. 석불은 기존에는 미륵암 대웅전에 위치해 있었으나, 2011년 미륵암 대웅전 건물이 화재로 전소되면서 가건물에 모셔졌다. 나라의 길흉에 따라 석불의 색이 변한다는 내용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5)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 도솔산 선운사에 속해 있던 암자. 조선 1700년(숙종 26)에 창건하였다. 6)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용산리 지리산 다솔사에 소속된 암자. 7) 부산시 사상에 있는 사찰. 8)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사불산 대승사에 속해 있던 암자. 신라 때 창건됐고, 고려 우왕 10년 백진(白瑨)이 중창하였다. 9)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창대리 금강산에 있는 사찰. 신계사에 속한 암자이다. 1917년 신도 유경화(劉慶華)가 유마암 옛터에 창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