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증유경
본문
한자1
[未曾有經]
한자2
ⓢ
Adbhutadharmaparyāyasūtra
ⓟ
ⓣ
뜻(설명)
1권. K237, T688.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번역자 미상. 후한(後漢)시대(25~220)에 번역되었다. 작은 불탑이나 불상을 조성하더라도 그 공덕은 매우 큼을 설한 경전으로 『불설무상의경(佛說無上依經)』의 제1 「교량공덕품(校量功德品)」을 요약한 것이다. 육바라밀의 이름이 단(檀)·시라(尸羅)·찬제(羼提)·비리야(毘利耶)·선(禪)·반야로 번역되어 있는 점 등을 제외하면 다른 이역본인 『심희유경(甚希有經)』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다. ⇨ 심희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