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미타암

본문

한자1
[彌陀庵]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개풍군 영남면 대원리 보봉산에 있는 사찰. 화장사에 속한 암자. 조선 고종 15년 미산이 재건하였다. 2)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파평산에 있던 사찰. 미타사라고도 한다. 창건 연대에 대해서 고려 의종 때라는 설과 1095년 헌종원년 때라는 설, 인종 때라는 설 등이 있다. 윤언이(尹彦頤)가 승려인 관승(貫乘)과 함께 창건해서 처음엔 금강사(金剛寺)라고 했다. 미타암은 원래 금강사의 속암이었으나 금강사가 폐사된 후 아미타존상을 모셔와 미타사라고 불렀다고 한다. 3) 경기도 안성시 칠현산에 있던 사찰. 지금 칠장사에 속한 극락암의 전신이다. 4)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면 천관산 천관사의 부속 암자. 5)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면 소주리 천성산에 있는 사찰. 창건 연대는 미상이며 신라시대 원효가 창건하였다. 고려 1376년(우왕 2) 중창했고, 조선 1888년(고종 25) 정진(正眞)이 3창하였다. 문화재로는 보물로 지정된 아미타여래입상이 있다. 6) 대구시 동구 중대동 팔공산 파계사에 속한 암자. 1628년 계관(戒寬)이 창건하였다. 7) 강원도 양양군 토성면 신평리 금강산에 있는 사찰로 화암사 부속 암자. 조선 1401년(태종 1) 지장암을 옛터의 동쪽에 옮겨 짓고 미타암이라 이름하였다. 8)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에 있던 사찰. 9) 강원도 고성군 외금강면 금강산에 있는 사찰로 신계사에 속한 암자. 조선 1860년(철종 11) 상엽(尙曄)비구니가 문수암을 지었다가 미타암이라 개칭하였다. 대한제국 1905년(광무 9) 비구니 수영(壽永)이 중수하였다. 지금의 문수암이다. 10) 함경남도 이원군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