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황사
본문
한자1
[美黃寺]
한자2
ⓢ
ⓟ
ⓣ
뜻(설명)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달마산에 있는 사찰. 신라 749년(경덕왕 8) 의조(義照)가 창건하였다. 사적비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신라 경덕왕 때인 749년 어느 날 돌로 만든 배가 달마산 아래 포구에 닿았다. 배 안에서 범패 소리가 들려 어부가 살피려 다가갔지만 배는 번번이 멀어져 갔다. 이 말을 들은 의조화상이 정갈하게 목욕을 하고 스님들과 동네 사람 100여 명을 이끌고 포구로 나갔다. 그러자 배가 바닷가에 다다랐는데 금인(金人)이 노를 젓고 있었다. 배 안에는 『화엄경』 80권, 『법화경』 7권, 비로자나불, 문수보살, 40성중(聖衆), 16나한, 그리고 탱화, 금환(金環), 검은 돌들이 실려 있었다. 사람들이 불상과 경전을 모실 곳에 대해 의논하는데 검은 돌이 갈라지며 그 안에서 검은 소 한 마리가 나왔다. 소는 순식간에 커다란 소로 변했다. 그날 밤 의조화상이 꿈을 꾸었는데 금인이 “나는 본래 우전국(優塡國) 왕인데 여러 나라를 다니며 부처님 모실 곳을 구하였소. 이곳에 이르러 달마산 꼭대기를 바라보니 1만 불이 나타나므로 여기에 부처님을 모시려 하오. 소에 경전과 불상을 싣고 가다 소가 누웠다가 일어나지 않거든 그 자리에 모시도록 하시오.” 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경전과 불상을 소에 싣고 가다가 소가 멈추는 곳에 절을 지으면 국운과 불교가 흥왕하리라는 사찰의 창건 설화가 전한다. 미황사는 중국에까지 알려져 1264~1294년 사이에는 남송의 학자와 관리들이 내왕했다는 기록이 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었고 이듬해에 만선(晩善)이 중건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의 중창과 중건이 이루어지며 현재에 이른다. 문화재로 보물인 대웅전과 응진당, 괘불탱,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인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응진당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나한상 일괄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달마산 미황사 일원은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