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문피사경
본문
한자1
[婆羅門避死經]
한자2
ⓢ
ⓟ
ⓣ
뜻(설명)
1권. K705, T131.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후한(後漢)시대인 148년에서 170년 사이에 안세고(安世高)가 번역하였다. 줄여서 『피사경(避死經)』이라고 한다. 경의 이름처럼 죽음을 피해 영원히 살기를 바라는 바라문들에게 부처님께서 누구라도 죽음은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일깨워 준 경전이다. 부처님이 사위성의 기수급고독원에 머물 때 비구들에게 설하셨다. 옛날에 바라문 선인(仙人) 4명이 선법(善法)을 닦아서 오신통(五神通)을 얻었는데, 그들은 영원히 세상에서 살기를 원했다. 그래서 그들은 각자 죽음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장소인 허공과 바다와 산과 땅으로 날아가 숨었다. 그러나 모두 죽음이 없을 것이라고 믿은 그곳에서 목숨을 마치게 되었다. 이처럼 아무도 죽음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은 진리이다. 이 경은 해당하는 팔리어 원전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남북 양전으로 나뉜 이후 비교적 이른 시기에 성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에서는 이 경의 내용에 덧붙여 죽음을 면하기 위해서는 제행무상(諸行無常), 일체개고(一切皆苦), 제법무아(諸法無我), 열반적정(涅槃寂靜)의 4가지 법의 근본[法本]을 사유해야 한다고 설한다. 이 경은 『증일아함경』 제31 「증상품(增上品)」의 일부 내용에 대한 이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