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반야경

본문

한자1
[般若經]
한자2
뜻(설명)
불교의 소극적 제법실상론(諸法實相論)을 말한 경의 총칭. 반야로 관조(觀照)해야 할 이(理)인 만유는 우리가 보는 실물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 다 공(空)하여 모양이 없는 것임을 설하고 있다. 이 경은 여러 종류가 있으나, 이것을 집성(集成)한 것은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대반야경』 16회(會) 600권이다. 여러 가지의 『반야경』은 모두 이 경의 일부에 해당한다. 제2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서진(西晋)의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광찬반야바라밀경(光讚般若波羅蜜經)』 10권, 서진의 무라차(無羅叉)·축숙란(竺叔蘭)이 함께 번역한 『방광반야바라밀경(放光般若波羅蜜經)』 20권, 요진의 구마라집(鳩摩羅什, kumārajīva)이 번역한 『마하반야바라밀경』 27권이 있다. 제4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후한의 지루가참(支婁迦讖, Lokakṣem)이 번역한 『도행반야바라밀경(道行般若波羅蜜經)』 10권, 오나라의 지겸(支謙)이 번역한 『대명도경(大明度經)』 6권, 전진(前秦)의 담마비(曇摩蜱, Dharmapariya)가 번역한 『마하반야바라밀초경(摩訶般若波羅蜜鈔經)』 5권, 구마라집이 번역한 『마하반야바라밀경』 10권이 있다. 제6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양나라 때 월바수나(月婆首那, Upaśūnya)가 번역한 『승천왕반야바라밀경(勝天王般若波羅蜜經)』 7권이 있고, 제7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문수사리소설마하반야바라밀경』(양나라 때 만다라선曼陀羅仙 번역과 승가바라僧伽婆羅의 번역 2본)이 있으며, 제8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송나라 때 상공(翔公)이 번역한 『불설유수보살무상청정분위경(佛說濡首菩薩無上淸淨分衛經)』 2권이 있다. 제9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금강반야바라밀경』 1권(요진의 구마라집, 북위의 보리유지, 양나라의 진제·급다, 당나라의 의정·현장이 번역한 6본)이 있고, 제10회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당나라 때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번역한 『실상반야경』 1권이 있다. 또 반야의 심요(心要)를 말한 것으로 『반야심 경』 1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