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반야등론석

본문

한자1
[般若燈論釋]
한자2
Prajñā- pradīpamūlamadhyamakavṛtti
뜻(설명)
15권. K578, T1566. 청변(淸辯) 지음. 당(唐)나라 때인 630년 7월에서 632년 12월 사이에 파라바밀다라(波羅頗蜜多羅, Prabhākaramitra)가 승광사(勝光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반야등론』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가르침인 연기설을 『반야경』의 사상에 입각하여 무자성(無自性) 공(空)으로 해석하고, 귀류법 등의 논법으로 외도와 소승의 잘못된 견해를 논파하는 용수의 『중론(中論)』에 대한 주석서이다. 분별명(分別明), 즉 청변(淸辯)이 저술하였으며, 27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변은 중관 사상을 3지작법(支作法)의 형식으로 제시하고 그 논리적 타당성을 입증하고자 하며 중관학파의 일반적 입장을 대표하는 불호(佛護)의 학설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러나 청변의 이러한 비판은 다시 월칭(月稱)에 의해 논박됨으로써 중관학파 안에 대립하는 두 개의 사상적 조류가 생겨나게 된다. 이 논서는 인도 대승불교 사상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한역(漢譯)에는 불완전한 부분이 많으므로 티베트어 번역본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 중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