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반주삼매경

본문

한자1
[般舟三昧經]
한자2
Bhadrapālasūtra
뜻(설명)
1) 3권. K67, T418. 후한(後漢)시대인 179년(광화 1)에 지루가참(支婁迦讖, Lokakṣema)이 낙양(洛陽)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반주경(般舟經)』이라고 하고, 별칭으로 『대반주삼매경(大般舟三昧經)』· 『시방현재불실재전입정경(十方現在佛悉在前立定經)』이라고도 한다. 대승불교 초기에 성립된 경전으로 초기의 정토 사상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전을 통해 정토신앙에 아미타불의 이름을 칭명(稱名)하는 전통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반주삼매는 시방세계에 있는 부처님이 눈앞에 나타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삼매인데, 실제로 정토종의 역사에는 『반주삼매경』에 의한 견불(見佛)의 흐름이 있었으며, 여산의 혜원(慧遠)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경은 부처님이 발타화보살의 요청에 응하여 반주삼매의 법문을 설한 것으로, 반주삼매와 그것을 얻기 위한 수행법, 반주삼매의 공덕에 대해 설한다. 7일 혹은 90일을 미리 결정하고, 그동안에 조금도 게으르지 않고 일심전념(一心專念)하여 반주삼매를 닦으면, 부처님이 그의 앞에 몸을 나타내시고 교화해 준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천태는 이 경에 의하여 상행삼매(常行三昧)를 말하고 있다. 경의 구성은 「문사품」·「행품」·「사사품」·「비유품」·「무착품」·「사배품」·「수결품」· 「옹호품」·「찬라야불품」·「제불품」· 「무상품」·「십팔불공십종력품」·「권조품」·「사자의불품」·「지성불품」· 「불인품」의 16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역본으로 『대방등대집경현호분(大方等大集經賢護分)』, 『발파보살경(拔陂菩薩經)』, 『불설반주삼매경』 등이 있다. 2) 1권. K68, T417.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후한(後漢)시대인 179년에 지루가참(支婁迦讖, Lokakṣema)이 번역하였다. ⇨ 반주삼매경(K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