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대장엄경
본문
한자1
[方廣大莊嚴經]
한자2
ⓢ
Lalitavistarasūtra
ⓟ
ⓣ
뜻(설명)
12권. K111, T187. 당(唐)나라 때인 683년 또는 685년에 지바가라(地婆訶羅, Divākara)가 서경(西京)의 서태원사(西太原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대장엄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신통유희경(神通遊戲經)』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전기를 담고 있는 여러 불전 가운데서도 특히 중요한 경전이다. 「서품」· 「도솔천궁품」·「승족품」·「법문품」· 「강생품」·「처태품」·「탄생품」·「입천사품」·「보장엄구품」·「시서품」·「관농무품」·「현예품」·「음악발오품」· 「감몽품」·「출가품」·「빈바사라왕관수속리품」·「고행품」·「왕니련하품」·「예보리장품」·「엄보리장품」· 「항마품」·「성정각품」·「찬탄품」·「상인몽기품」·「대범천왕권청품」·「전법륜품」·「촉루품」의 27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탄생 인연에서부터 성도 후 초전법륜에 이르기까지 부처님의 일대기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동일한 원본에 대해 네 차례에 걸쳐 번역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으나, 현재 전하는 것은 두 번째 번역된 축법호(竺法護)의 『보요경(普曜經)』과 맨 나중에 지바가라가 번역한 이 경전이다. 이역본으로 『불설보요경(佛說普曜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