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방광반야바라밀경

본문

한자1
[放光般若波羅蜜經]
한자2
Paṁśatisāhasrikā prajā-pāra- mitāsūtra
뜻(설명)
20권. K2, T221. 서진(西晋)시대인 291년에 무라차(無羅叉, Mokṣala)와 축숙란(竺叔蘭)이 함께 진유(陳留)의 수남사(水南寺)에서 번역하였다. 줄여서 『광반야바라밀 경』·『방광경』·『방광반야경』이라고 하며, 별칭으로는 『마하반야방광 경』·『방광마하반야경』·『방광반야바라밀다경』이라고 한다. 이역본으로 『광찬경』,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제2회,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이 있다. 서진(西晋)시대에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한 『광찬반야경(光讚般若經)』 10권은 이 경의 앞부분 30품에 해당한다. 내용상으로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제2분과 거의 일치하며, 서품이라 할 수 있는 「방광품」 외에 「무견품(無見品)」, 「촉루품(囑累品)」 등 90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견품」에서는 “오온(五蘊)이 곧 공(空)이고 공(空)이 오온(五蘊)이다.”라고 한 뒤에 반야바라밀을 닦는 법에 대해 설하고 있으며, 「촉루품(囑累品)」에서는 부처님께서 아난존자에게 이 반야경의 가르침이 세상에 널리 유통될 것을 부촉하신다. 이 경전은 공(空)사상과 반야바라밀의 실천을 자세히 설하고 있으며, 주석서로는 『방광반야경기(放光般若經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