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불경
본문
한자1
[謗佛經]
한자2
ⓢ
Buddhakṣepaṇa
ⓟ
ⓣ
뜻(설명)
1권. K239, T831. 후위(後魏)시대인 508년에서 535년 사이에 보리유지(菩提流支, Bodhiruci)가 낙양(洛陽)과 도건(都建)에서 번역하였다. 부처님 법을 비방한 경우 받게 되는 과보에 대해 설한 경전이다. 이우비(離憂悲)보살 등 10명은 7년 동안 다라니를 성취하고자 수행했으나 얻지 못하자, 수행을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가 버리고 말았다. 그때 불외행(不畏行)보살이 부처님에게 그들이 다라니를 얻지 못한 까닭에 대해 묻자, 부처님께서는 10명의 보살들이 전생에 지은 업보 때문이라고 말하고, 그 인연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들은 일찍이 과거 30겁 전에 대장자(大長者)의 아들들이었는데, 스승인 변적(辯積)법사를 비방하는 죄업을 지은 까닭에 그 과보로 오랫동안 지옥에 떨어져 고통을 받았으며, 출가해서 다라니를 구하여도 얻지 못한 것이다. 그때의 변적법사는 지금의 아촉(阿閦)여래이고, 그 장자의 아들들은 수행을 포기한 10명의 보살들이다. 부처님은 불외행보살에게 그 10명의 보살들이 자신의 죄업을 없앨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해 주었는데, 부처님 법을 비방한 경우에 해당하는 다라니를 온 정성을 다해 7일 동안 염송하면 악업이 모두 사라진다고 한다. 이역본으로 『불설결정총지경(佛說決定總持經)』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