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편
본문
한자1
[方便]
한자2
ⓢ
upāya
ⓟ
ⓣ
뜻(설명)
좋은 방법을 써서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으로 훌륭한 교화 방법이라는 말이다. 차별의 사상(事象)을 알고 중생을 제도하려는 지혜로, 진실한 가르침으로 인도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마련한 법문을 가리킨다. 빈말이 아니라 중생 각각의 근기에 따라서 이익을 얻게 하는 진실의 대어(對語)이다. 혜원의 『대승의장(大乘義章)』과 규기의 『법화현찬(法華玄贊)』에서는 다음과 같이 4종 방편을 들고 있다. (1) 진취방편(進趣方便): 방편도(方便道)라고 하는 경우처럼 깨달음을 향하여 접근하는 준비적인 행[加行]. (2) 권교방편(權巧方便): 방편지(方便智)라고 하는 경우처럼 정교한 수단을 마련하는 것. 여기서 방편지는 권지(權智)를 말하며 중생의 차별상을 알고 근기에 따라 적절하게 교화하는 지혜이다. (3) 시조방편(施造方便) 또는 시위방편(施爲方便): 십바라밀(十波羅蜜)의 하나인 방편바라밀처럼 목적과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정교하고 적합한 수단을 베푸는 것. (4) 집성방편(集成方便): 『십지경론(十地經論)』의 육상설(六相說)처럼 모든 존재의 본질은 하나이며 하나 중에 일체를 갖추고 일체가 그대로 하나에서 정교하게 서로 융합하여 이루어진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