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백담사

본문

한자1
[百潭寺]
한자2
뜻(설명)
강원도 인제군 북면에 있는 사찰. 백담사의 전신은 647년(진덕여왕 1)에 창건되었는데, 처음에는 한계령 부근에 사찰을 창건하고 사찰명을 한계사라고 하였다. 690년(신문왕 10)에 화재로 소실되어 719년(성덕왕 19)에 재건하였다. 『백담사사적기(百潭寺史蹟記)』에 의하면 785년(원성왕 1)에 다시 화재가 일어났으며, 790년에는 한계사 절터 아래 11.7km 지점으로 사찰을 옮겨 중건하고 사찰명을 운흥사라고 하였다. 그러나 984년(성종 3)에 다시 화재로 소실되어 운흥사지 북쪽 23km쯤의 위치로 사찰을 이건하고 987년 사찰명을 심원사로 바꾸었다. 그 후 조선시대까지 전승되다가 1432년 네 번째 화재로 다시 전소되었다. 2년 후에 심원사지 아래 11.7km쯤의 위치에 법당과 요사채를 세우고 사찰명을 선구사라 하였으나 1443년에 또다시 화재가 일어났고, 1447년 옛 절터의 서쪽 400m쯤 되는 곳에 다시 사찰을 중수하여 영축사라 하였다. 그러나 1455년 여섯 번째 화재로 전소하고, 이듬해 옛 절터의 상류 7.8km 지점으로 옮겨서 중건하여 백담사라 하였다. 1772년(영조 51)에 다시 화재가 일어나자 1775년 최붕, 태현, 태수 등이 초암을 짓고 6년 동안 머물면서 법당과 향각 등의 건물을 중건하고 심원사라 불렀고, 1783년(정조 7)에 사찰명을 백담사로 바꾸었다. 일제강점기에 한용운이 이곳에 머물면서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십현담주해(十玄談註解)』, 『님의 침묵』과 같은 저서들을 집필하였다. 6·25전쟁 때 다시 한번 소실되었다가 1957년에 중건하여 오늘의 모습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