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백우수필

본문

한자1
[百愚隨筆]
한자2
뜻(설명)
1책. 조선시대 석실명안(石室明眼, 1646~1710)의 시문집. 구성은 하세응(河世應)이 1722년(경종 2)에 쓴 「백우집서(百愚集序)」, 시문 17편, 부록 2편 등으로 되어 있다. 시문은 「발원사(發願詞)」·「염불가(念佛謌)」·「사교행위도(四敎行位圖)」의 문이 먼저 나온 뒤, 6수의 시가 수록되었다. 시 뒤에 다시 4편의 기문과 4편의 제문이 실려 있다. 「사교행위도」는 소승교·통교십지(通敎十地)·별교행위(別敎行位)·원교행위(圓敎行位)의 4교별로 불과(佛果)를 증득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하여 도표로 나타냈는데, 화엄원교를 우위에 두는 명안의 교판론을 잘 보여 준다. 부록으로는 심동택(沈東澤)이 쓴 「설암설(雪嵒說)」과 문인 단숙(端肅)이 쓴 「석실선사행장(石室禪師行狀)」이 있고, 마지막에 1721년 신명구(申命耈)가 쓴 「서 설암유고후(書雪嵒遺稿後)」가 나온다. 전남 낙안 금화산 징광사(澄光寺)에서 1721년(경종 1)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