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백족사

본문

한자1
[白足寺]
한자2
뜻(설명)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백족산(白足山)에 있는 사찰. 창건주와 창건 시기 및 배경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경내에 있는 석불·석탑 등의 유물을 통해서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심진암(尋眞庵)이라고 하였으나 백족산의 이름을 따라 지금의 사찰명으로 바꾸었다. 백족산의 지명 유래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는데, 조선 세조가 속리산으로 행차할 때 이 일대를 지나다가 휴식을 취하면서 냇가에 발을 씻을 때 발이 백옥같이 하얗게 변한 것이 산명의 유래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가장 유명하다. 조선 중기 학자 이안눌(李安訥, 1571~1637)의 문집인 『동악선생집(東岳先生集)』에도 백족사에 관한 내용이 언급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기까지도 백족사가 그 명맥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언젠가부터 폐사 상태가 되었다가 1930년대에 중창되었다. 문화재로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청주 백족사석조여래좌상(淸州 白足寺石造如來坐像,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청주 백족사삼층석탑(淸州 白足寺三層石塔,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