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범지계수정경

본문

한자1
[梵志計水淨經]
한자2
뜻(설명)
1권. K671, T51. 고려대장경에는 경전명 앞에 ‘불설(佛說)’이 추가로 명기되어 있다. 번역자 미상. 동진(東晋)시대(317~420)에 번역되었다. 부처님이 울비라(鬱鞞羅)의 강가 언덕에서 깨달음을 이룬 지 오래지 않았을 때 계수정(計水淨)이라는 바라문이 다가오는 것을 보고 비구들에게 깨끗함과 더러움에 관하여 설한 경전이다. 부처님께서는 마음에 21가지 번뇌[結着]가 있으면 더러운 옷을 빨아도 얼룩이 사라지지 않는 것처럼 나쁜 세계에 떨어져 지옥에 난다고 말한다. 그러나 마음의 결착이 없으면 언제나 깨끗하여 천상에 나게 되므로 잘못된 견해와 게으른 마음을 버리면 마음이 자(慈)와 더불어 육방(六方)에 가득차게 된다고 설한다. 또한 부처님은 물로 목욕하는 것에 대해 묻는 계수정바라문에게, 물로는 온갖 나쁜 행동을 깨끗하게 하지 못하며 살생하지 않고 도적질하지 않는 등의 계율을 잘 지키는 것이야말로 가장 깨끗한 목욕이라고 설법하는데, 이 법문을 들은 계수정은 마침내 부처님께 귀의하게 된다. 이역본으로 『중아함경(中阿含經)』의 제93 『수정범지경(水淨梵志經)』,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의 제13 제5경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