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법계도

본문

한자1
[法界圖]
한자2
뜻(설명)
1권.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법성게(法性偈)』라고도 한다. 신라 문무왕 때 승려인 의상(義湘, 625~702)이 당나라 유학 중인 668년경 저술한 책으로 화엄경의 요지를 집약했다. 7언 30구 210자의 게문(偈文)을 54각(角) 도인(圖印)으로 만든 것이다. 이 인장(印章)은 자내증(自內證)의 내용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직관(直觀)에 의하는 것 외에는 알 수 없으므로 수행을 통해 성취한 제자의 각증(覺證)의 인가(印可)로 수여하는 것이었다. 이 도인의 대의(大義)는 부처님 교법의 3종세간(三種世間)이 해인삼매(海印三昧)에 의해서 나타남을 밝힌 것이라고 한다.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의 ‘법(法)’ 자부터 구래부동명위불(舊來不動名爲佛)의 ‘불(佛)’ 자로 끝나는데, 내용 중에 중생수기득이익(衆生隨器得利益)의 ‘중(衆)’ 자를 넣어 불·법·승의 삼보가 구족되어 있다. 3종세간이란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중생세간(衆生世間)·기세간(器世間)을 말하며, 이 3세간이 일체 제법을 모두 포섭하고 있다. 이 인상(印相)은 3단으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다. 1단은 인문상(印文相)을 설하고, 2단은 자상(字相)을 밝히며, 3단은 문의(文意)를 주석하고 있다. 법계도 210자는 40권·60권·80권 『화엄경』 등 모든 화엄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