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법상종

본문

한자1
[法相宗]
한자2
뜻(설명)
유식종(唯識宗)·응리원실종(應理圓實宗)·보위승교종(普爲乘敎宗)·유식중도종(唯識中道宗)·중도종(中道宗)이라고도 한다. 소의경전(所依經典)으로는 『해심밀경(解深密經)』·『성유식론(成唯識論)』·『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등이 있다. 인도에서는 무착(無着)·천친(天親)이 세우고, 중국에서는 현장(玄奘)이 인도의 계현논사(戒賢論師)에게 배워 와서 규기(窺基)에게 전했다. 규기는 자은사에 있었기에 자은종(慈恩宗)으로도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의 원측(圓測)이 당나라에 가서 현장에게 『유식론』·『유가론』을 배우고 『유식소초(唯識疏抄)』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신라 경덕왕 때 진표가 금산사에서 계법(戒法)과 점찰법(占察法)을 겸해 닦아 실행했다. 또한 법상종의 종지를 제자 영심(永深)·보종(寶宗)·신방(信芳) 등에게 전하여 법주사·동화사 등에서 크게 떨쳤다. 우주 만유의 본체보다도 현상을 세밀히 분류 설명하였으므로 법상종이라 한다. 유식종이라 불리는 이유는 온갖 만유가 오직 식(識)이 변해서 이루어진 것에 불과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이 종파의 주장은 불교는 유식론으로, 만유는 오로지 아뢰야식으로 연기(緣起)하였으며 그 연기의 주체인 능변(能變)의 시초는 제8식이라 한다. 제2능변은 제7식, 제3능변은 전6식이며 이는 모두 내심(內心)으로 외경(外境)을 변현하므로 삼계유일심(三界唯一心)·심외무별법(心外無別法)이라 말한다. 만유를 분류하여 오위백법(五位百法)으로 정하며, 만유의 참된 실재와 허망을 밝히기 위하여 삼성(三性)을 제시한다. 식(識)이 바깥 경계를 인식하는 과정에 나아가서는 이를 4분(四分)으로 나누어 세밀히 설명하고, 유식의 이치를 깨달아 알게 하는 방법으로 오중유식관(五重唯識觀)을 세웠다. 중생이 해탈하는 방법으로는 오성(五性)이 각각 다르다고 말하며 영구히 해탈할 수 없는 사람이 있다고 주장한다. 또 이 종파의 삼승교만이 진실하고 다른 종파의 일승교는 가설(假說)이기 때문에 이 종을 권대승(權大乘)이라 일컫기도 한다. 인도에서는 본래 중관종(中觀宗)에 대립하여 유가종이라 부르던 것인데, 불멸 후 900년경에 미륵이 중인도에 내려와서 『유가사지론』·『분별유가론(分別瑜伽論)』·『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변중변론(辯中邊論)』·『금강반야론(金剛般若論)』을 설하고, 무착·천친이 이를 이어받아 『섭대승론(攝大乘論)』·『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혹은 『섭대승론석(攝大乘論釋)』·『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등을 지어 교의(敎義)를 설명했다. 호법 등 10대논사 또한 세친의 『유식삼십송』을 주석(註釋)하여 유식의 이치를 크게 드러냈다. 호법의 문하(門下)에 계현(戒賢)이 당시에 중국으로부터 건너간 현장에게 그 법을 전했으며, 현장은 돌아와 유식 10대논사의 해석을 합하여 『성유식론』을 짓고, 그의 제자 규기는 『유식론술기(唯識論述記)』·『성유식론장중추요(成唯識論掌中樞要)』를 지어 본종의 교의를 크게 이루었다. 『성유식론장중추요』와 혜소(惠沼)의 『성유식론요의등(成唯識論了義燈)』과 지주(智周)의 『성유식론연비(成唯識論演袐)』는 유식의 삼대소(三大疏)라 칭하며 법상종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