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법주사

본문

한자1
[法住寺]
한자2
뜻(설명)
1)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속리산에 있는 사찰. 속리사라고도 한다. 신라 553년(진흥왕 14) 의신(義信)이 창건했고, 신라 776년(혜공왕 12) 진표(眞表)가 중창했으며, 조선 1624년(인조 2) 벽암(碧岩)이 중수했다. 석등·석련지를 제외하고는 조선 후기의 건물이다. 대웅전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건축물이며, 팔상전은 5층탑 양식으로 지어진 우리나라 유일의 현존 목조 건축물이다. 팔상전 북쪽에 있는 두 마리의 사자가 대립하고 있는 쌍사자 석등과 화사석(火舍石) 팔면의 정교한 조각과 균형이 아름다운 사천왕 석등은 법주사의 대표적 문화재이다. 경내에는 1939년에 세운 75척의 거대한 미륵존불 입상이 봉안되었다. 고려 1341년(충혜왕 복위 2)에 세운 자정국존비(慈淨國尊碑)를 비롯하여 수십 개의 비와 부도가 있다. 국보인 쌍사자 석등, 팔상전, 석련지 및 보물 사천왕 석등, 마애여래의상(倚像) 등이 있다. 석조(石槽)·석교(石橋)·석옹(石瓮)·산호전·금신장륙상(金身丈六像)과 구리로 부어 만든 당(幢)이 있다. 2) 경상북도 군위군 소보면 달산리 청화산에 있는 사찰. 신라시대 소지왕 때 창건했으며 은해사(銀海寺)의 말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