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집별행록절요사기해
본문
한자1
[法集別行錄節要私記解]
한자2
ⓢ
ⓟ
ⓣ
뜻(설명)
1권 1책. 조선시대 회암정혜(晦庵定慧, 1685~1741)가 지눌의 『절요(節要)』를 주석한 책. 목판본. 『절요』에 대해 과목(科目)을 세우고 그것을 과도(科圖)로 미리 제시한 뒤 그 과목의 체제에 따라 문단을 나누고 별도의 주석을 붙였다. 정혜는 지눌의 저술 의도를 좇아 상근기가 아닌 사람은 교의를 빌려 깨달음에 이를 것을 강조한다. 그것은 조사가 밀전(密傳)한 심법(心法)이 너무 어렵기 때문이다. 상근기는 직접 화두를 참구하여 견성에 이를 수 있지만, 중·하의 근기는 여실한 언교(言敎)에 의하여 자신의 진망(眞妄)을 분명히 한 후에 언구를 참구하여 지견(知見)의 병을 제거하고 구경의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 그러므로 선교(禪敎)를 겸학해야 된다는 것이 정혜의 견해이다. 연담유일 이전까지는 많은 학인이 정혜의 해석에 의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함경북도 길주 성불산 길상암(吉祥庵)에서 1747년(영조 23) 발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