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법천사

본문

한자1
[法泉寺]
한자2
뜻(설명)
1) 충청남도 대덕군 계족산 남쪽에 있던 사찰. 2)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승달산에 있는 사찰. 725년(성덕왕 24) 서역 금지국(金地國) 승려 정명(淨明)이 창건했고, 고려 인종 때 원명(圓明)이 중건했다.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으로 인한 병화로 불타고 불상·불구(佛具)는 목우암(牧牛庵)에 옮겨 보관하였다고 전한다. 3) 경상남도 하동군 법산(法山)에 있던 사찰이며 교종 소속이었다. 4) 경상남도 고성군 무량산에 있던 사찰이다. 5)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에 있는 사찰로 정확한 건립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측한다. 사찰에서 북쪽으로 약 100m 떨어진 곳에 약수로 유명한 냉정 샘터가 있었는데 지금은 메워져 흔적만 남아 있다. 절이 있던 ‘냉정골’의 이름을 본떠 냉정사(冷井寺)라 하였는데 1901년 ‘법이 솟는 샘’이라 하여 법천사로 개명하였다. 6) 강원도 원주군 부론면 명봉산에 있던 사찰. 유방선(柳方善)이 강학(講學)하던 곳이다. 고려 선종 때 세운 지광국사현묘탑비(국보)와 당간지주가 있다. 7) 평안남도 용강군 삼화면 충흥리 법천산 남쪽 기슭에 있던 사찰. 석불과 조선 1705년(숙종 31)에 세운 높이 6척의 비가 있다. 8) 황해북도 개성시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