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다
본문
한자1
한자2
ⓢ
veda
ⓟ
ⓣ
뜻(설명)
폐타(吠陀)·비타(毘陀, 鞞陀)·피다(皮陀)·위다(葦陀, 圍陀)·폐다(吠駄, 薛陀)라고 음역. 지론(智論)·명론(明論)·무대(無對)라 번역한다. 브라만교의 성전을 통칭하는 말이다. 고대 인도의 종교 의례와 사상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 4종이 있다. (1) 리그베다(Rigveda): 주로 천지 자연의 신에 대하여 찬탄하는 시(詩)를 모은 것으로 인도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2) 사마베다(Sāmaveda): 소마제(蘇摩祭) 때에 읊기 위해 찬탄하는 시에 악센트를 붙여서 제를 지내는 차례에 따라 정리하여 놓은 책이다. 대부분은 리그베다의 시를 다시 기록한 것이다. (3) 아유르베다(Ayurveda): 종교 의식에 관한 책으로 2종이 있다. ① 흑(黑)아유르베다: 일부분은 리그베다와 공통되는 찬탄 시와 이것을 제사에 쓰기 위하여 주해한 산문의 설명이다. ② 백(白)아유르베다: 설명하는 부분을 빼고 찬탄하는 시만을 모은 것이다. (4) 아타르바베다(Atharvaveda): 여러 가지의 재난과 악운을 물리치고 복과 행복을 얻기 위한 주문 등을 모은 책이다. 주문에는 우주의 원리를 설명한 내용이 있으며 호흡(prāṇa)이 모든 존재 및 우주, 과거·현재·미래를 성립시키는 최고의 원리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