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보리사

본문

한자1
[菩提寺]
한자2
뜻(설명)
1) 경기도 양평군 미지산에 있던 사찰. 고려 태조 20년에 세워진 양평 보리사지대경대사탑비(楊平 菩提寺址大鏡大師塔碑)가 있다. 2) 전라남도 담양군 추월산에 있던 사찰. 현재의 보리암이다. 3)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자굴산에 있던 사찰이며 그 부근에 돌구유가 남아 있다. 4) 대구 팔공산에 있던 사찰. 5) 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에 있는 사찰로 886년(헌강왕 12)에 창건되었다. 경주시 남산에 있는 여러 사찰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헌강왕과 정강왕의 능이 보리사의 동남쪽에 위치한다.”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왕릉의 위치를 정하는 기준이 될 정도로 유서 깊은 사찰이었으나 이후의 연혁이 전하지 않아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다. 오랫동안 폐사로 남아 있던 것을 1911년 보경사(寶鏡寺) 비구니 박덕념(朴德念)이 중창하고, 1932년 비구니 남법명(南法明)이 중수하였다. 1977년에는 비구니 추묘운(秋妙雲)이 불사를 시작하여, 1980년 대웅전과 선원·요사채 등을 세우고 비구니 사찰로 만들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산신각·선원·종각·요사채 등이 있으며, 유물로는 보리사석불좌상과 마애불이 유명하다. 6) 경상북도 영천군 소백산에 있던 사찰로 욱면비(郁面婢)가 등천(登天)하던 곳이라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