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보림사

본문

한자1
[寶林寺]
한자2
뜻(설명)
1) 충청남도 아산시 동림산에 있는 사찰. 2)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 칠보산에 있는 사찰. 3)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시대 구산선문 가운데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종찰이다. 860년(헌안왕 4)에 이건된 이래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 804~880)이 초조 도의선사와 제2조 염거화상에 이어 자신이 제3조가 되는 가지산문의 중심 도량으로 삼았고, 수행자가 구름처럼 모여들어 큰절이 되었다. 보림사 가지산문의 선맥은 고려 말까지 이어져 『삼국유사(三國遺事)』를 지은 일연 역시 가지산문에 속했다고 전한다. 이곳에 처음 절을 지은 사람은 보조선사보다 100년 전쯤의 사람인 원표대덕(元表大德)이었다. 그때의 절 이름은 가지산사였는데, 보조선사가 입적한 후 헌강왕이 보림사라는 절 이름을 지어 주었다. 중국 남종선의 초조(初祖)인 육조대사 혜능이 주석하던 소주(韶州) 조계산 보림사의 이름을 이 절에 붙인 것은 이곳이 우리나라 선종의 본산임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보림사라는 절은 중국뿐만 아니라 인도에도 있는데 우리나라 보림사와 함께 3보림이라 일컬어졌다고 한다. 4)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구계리 영추산에 있던 사찰. 지공(指空)이 『반야경(般若經)』을 설하던 곳이라 한다. 절터에 진경(鎭鏡)의 보월능공탑비(寶月凌空塔碑)가 있는데 비문에 의하면 보림사는 923년(경명왕 7)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5)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있는 사찰로 1912년에 벽송사 주지 김동운(金東雲)이 건립하였다, 1929년 관내 6개 사찰(영원사, 법화사, 실상사, 용추사, 벽송사)이 연합 운영하면서 포교사업으로 유치원을 운영한 바 있으며, 1970년 조영산이 부임하여 보림사(寶林寺)라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6) 평안남도 용강군 대대면 오산리 우산에 있는 사찰. 보림암이라고도 한다. 7) 황해남도 송화군 용문산에 있던 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