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보문사

본문

한자1
[普門寺]
한자2
뜻(설명)
1)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동에 있는 사찰로 1115년(예종 10)에 담진국사(曇眞國師)가 창건하고 보문사라고 명명했는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692년(숙종 18)에 중건되었다. 10여 동의 당우(堂宇)로 형성된 비구니의 수도처인 대가람으로, 탑골에 있다고 하여 탑골승방으로 더 알려져 있다. 2) 경기도 양주시 도봉산에 있는 사찰. 원통사라고도 불린다. 3) 인천광역시 강화군 낙가산 아래에 있는 사찰. 635년(선덕여왕 4) 회정(懷正)이 창건했다. 649년(진덕여왕 3)에 부근의 어부들이 불상과 나한 석상 22구를 바닷속에서 얻어 절의 석굴에 봉안했다고 전해진다. 1812년(순조 12)에는 봉장과 일신이 중수, 1928에는 절 뒤의 절벽에 높이 32척, 너비 12척의 관음상을 새겼다. 1867년(고종 4)에는 석굴 안에 나한각을 지었다. 4) 충청남도 논산시 마야산에 있던 사찰. 5) 충청남도 공주시 보문산에 있던 사찰. 6)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태조산에 있는 사찰. 7)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수계리 학가산에 있는 사찰. 신라 667년(문무왕 7) 의상이 창건했고 조선 1407년(태종 7)에는 교종에 예속되었다. 8) 경상북도 상주시 백화산에 있던 사찰. 9)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에 있던 사찰. 동서의 2탑과 금당(金堂)의 주춧돌이 남아 있다. 10) 경상북도 경산시 삼북동에 있는 사찰이다. 계룡산 충효사(忠孝寺)에 있던 우만월법사가 포교를 위해 이곳으로 와 민가에서 포교하던 중 신도들이 늘어나자 1932년 포교당을 건립하였다. 1974년부터 주석하던 주지 비구니 재운(在雲)이 포교의 활성화를 위해 1980년 법당을 2층으로 증축하고 요사를 중수하였는데, 이 무렵에는 ‘경산포교당’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11)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치악산에 있는 사찰. 12)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산에 있던 사찰. 13) 제주시 북제주군 조천읍 거구리 악북(岳北)에 있던 사찰. 14) 황해도 봉산군 동선령에 있는 사찰. 현재 독정사의 본래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