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불교사전

불교사전

보살강생시천주호법록

본문

한자1
[菩薩降生時天主護法錄]
한자2
뜻(설명)
1책. 조선시대 금명보정(錦溟寶鼎, 1861~1930)이 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보살로 있을 때로부터 사바세계에 내려와 성도하고 열반에 이르는 과정에서 천상의 신들이 석가모니와 그 법을 옹호한 내용을 엮은 책. 『보요경(普曜經)』이 3회, 『유마경(維摩經)』·『화엄경(華嚴經)』·『열반경(涅槃經)』 등이 2회씩 인용되고, 나머지 『법화경(法華經)』 등은 1회씩 인용되었다. 이 밖에 『통요(統要)』·『서응기(瑞應記)』·『문구기(文句記)』 등을 인용하였다. 대범천왕의 3회 청법 이후 『대범천왕문불결의경(大梵天王問佛決疑經)』을 인용해 영산회상 염화시중(靈山會上拈花示衆)을 기록하고, 하늘의 복이 다한 제석천과 수명이 다한 도리천자가 부처님께 후신(後身)을 위해 법을 청하는 내용을 기록하였다. 또 입멸 장면 앞에는 삼계이십팔천명수신량도(三界二十八天名壽身量圖)라 하여 하늘 세계의 수명이 도표로 상세히 기록되어 있고, 입멸 뒤에는 태자출가성도제경이설(太子出家成道諸經異說)이라 하여 『보요경』·『석가여래행적송(釋迦如來行蹟頌)』 등을 차례로 인용해 태자의 입태·출가·성도에 관한 이설(異說)을 기록하였다.